본문 바로가기
4. 잡다 지식/2. 블로그 정보

블로그 상위 노출을 위한 키워드 검색 사이트 - 블랙키위

by 요우요우맨맨 2021. 1. 15.
반응형

다들 블로그 하시면서 키워드 때문에 고민들 많이 하시죠??

상위 노출을 위해서는 적절한 키워드가 꼭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키워드는 검색량은 많고 포스팅된 글은 적어야 경쟁률이 낮아지고, 제 글이 읽힐 확률이 올라갑니다.

이런 모든 것을 한번에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블랙키위 라는 사이트입니다.

블랙키위 - 키워드 검색량 조회, 분석
특정 키워드가 얼마나 검색되는지 알아보세요.
blackkiwi.net

"블랙키위"에 들어가시면 키워드를 통한 여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위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 검색을 합니다.

저는 최근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에서 봤던, “링티를 검색해 봤습니다.

위와 같이 블랙키위에서는 여러 정보를 보여줍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월간 검색량 및 컨텐츠 포화 지수

우선적으로,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월간 검색량부터 블로그, 카페와 같은 곳에서의 게시물 발행량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상단 중간, 키워드 등급은 S+부터 D-까지 있고, S+에 가까울수록 좋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옆에 물음표를 눌러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컨텐츠 포화지수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현재 링티의 경우, 월 검색량은 70만에 달하는데, 게시물은 1000개도 되지 않는 아주 좋은 키워드라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2. 연관 키워드

이렇게 제가 검색한 링티와 연관된 검색어 10개를 보여줍니다.

연관 키워드에 대한 기본 정보를 보여줍니다. 원하시는 연관 검색어를 누르면 해당 검색어 블랙키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렇게 화살표 방향을 누르면 검색어가 많은 순서 또는 블로그 발행량이 많은 순서 등으로 정렬도 가능합니다.

또한,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활용하시면 연관 검색어를 Excel로 받거나 해시태그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검색 동향 그래프

블랙키위는 이렇게 월간 또는 연간 검색 동향을 이렇게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월간으로 보면 1225일이나 1231일날 검색량이 많아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마 크리스마스나 신년 선물로 검색을 해봤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연간으로는, 작년 3월부터 검색량이 노출됐으니, 저때쯤 출시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4. 월별, 요일별 검색 비율

그 다음은 이렇게 월별 또는 요일별 검색 비율을 보여줍니다. 현재 링티의 경우 매월, 매일 비슷한 수준으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시즌이나 계절에 연관되는 검색어라면 그쪽에 몰리겠죠??

이렇게 만약 목도리로 검색하니까 11, 12월에 검색이 몰린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5. PC 및 모바일 섹션 배치 순서

위의 데이터는 네이버기준으로 검색 시, 상단 노출의 순서를 보여줍니다.

좌측의 PC 배치 순서를 보면 파워링크, 웹사이트, VIEW 등의 순서로 되어있는데 이 순서에 따라 노출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 옆의 숫자는 켄텐츠의 수를 보여줍니다.

대략적으로 네이버에 링티를 검색 시, 저런 순서로 상위 노출이 됩니다. 아무래도 제품이다 보니 상위에 제품판매 관련 사이트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분들은, 직접 네이버에 검색해하셔서 비교해보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VIEW 내에서 어떤 게시물에 방문자가 많은가 볼려면 데이터 보기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보여줍니다.

이렇게 방문자가 많은 게시물을 참고하여 게시물을 쓴다면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6. 그 외 데이터

블랙키위에서 마지막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어떤 연령대가 많이 검색했고, 남녀 성비는 어떤지를 보여줍니다.

링티의 경우, 30, 40대 여성분의 검색량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키워드의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블랙키위에 대해 다 알아봤습니다.

이처럼 키워드를 면밀히 분석하여 글을 작성한다면 많은 유입을 이끌어 내리라 생각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