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기업 분석

[기업분석] – PI필름 1위 기업 - PI첨단소재 사업 및 주가분석 – (2)

by 요우요우맨맨 2021. 3. 2.
반응형

앞선 게시물에 이어 PI첨단소재의 재무제표 및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I첨단소재의 주 사업은 PI(Polyimide) 필름 및 바니쉬 판매라고 했습니다.

사실, 부동산 임대사업도 있지만 비중이 너무 작아 무시하겠습니다.

< 출처 : PI 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13기가 2020년입니다. 고작 매출에 0.01%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직 20년도 사업보고서는 없지만, PI첨단소재의 4분기 실적발표를 보니 역대 최대 매출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부분은 이미 PI첨단소재 주가에 반영됐다고 봅니다

< 출처 : PI 첨단소재 4분기 실적보고서 >

19년 대비 엄청난 성장을 이뤘습니다.

매출의 비중은 FPCB용도, 방열시트용도, 첨단산업용도 순서로 크지만 각 비중이 크게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4. 재무제표 분석

재무제표는 네이버 금융을 기반으로 제가 필요한 부분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추가했습니다.

< 자료 : 네이버 금융 및 PI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21년과 22년은 예상이며 20년은 아직 사업보고서가 없어, 정확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은 주로 7 ~ 9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을 보면 17년도에 엄청 높은데, 이때가 엄청 호황기였기에 그만큼 재고도 없었던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에서 재고가 없음은 좋은 현상입니다.

5년가 부채비율이 점점 늘고 있는데, 큰 문제는 아니지만 계속 지켜는 봐야겠습니다.

 

 

< 자료 : 네이버 금융 및 PI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매출액과 성장률을 그래프로 보면.

매출액은 꾸준하게 성장하다가 19년에 주춤했지만 앞으로 가파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네요.

PI 첨단소재의 주 매출이 일어나는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 PI 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당분기는 203분기입니다. 매출액이 아닌 비중으로 보면, 중국과 국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에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기업이 많아서 매출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업이익성장률을 보면 호황기에는 엄청난 성장률을 보여줍니다.

물론 19년도에 매출은 18년도와 비슷했지만 판관비가 늘어 영업이익이 많이 줄었습니다...

 

 

< 자료 : 네이버 금융 및 PI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영업현금흐름과 FCF 또한 주가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을 영업이익과 비교해보면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18년도에 605억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냈는데 영업현금흐름은 박살이 났습니다.

보통은 영업현금흐름이 영업이익보다 크기 마련입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영업이익에서 소송으로 인해 대략 171억에 해당하는 법률비용을 지불했습니다.

< 출처 : PI 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여기서 당기는 18년도입니다.

여기서의 소송은 앞선 게시물에서 봤던 PI 필름 시장 점유율 2위인 가네카와의 소송입니다.

가네카에서 특허 침해건으로 PI 첨단소재에 소송을 했고 아직 진행중입니다.

< 출처 : PI 첨단소재 사업보고서 >

당장 소송을 위한 법률비용은 들지만, 대략 한화 150억원인 손해배상금은 이전 소유자였던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에서 부담한다고 하니 설령 소송에서 져도 비용적인면에서는 다행입니다…그래도 소송은 이겨야겠죠??

글로벌 리서치 기업인 모닝스타에 따르면 [ FCF / 매출액 ] > 5% 이상이면 엄청난 현금 창출 능력이 있는 기업이라고 했습니다. 삼성전자가 대략 10%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PI첨단소재는 아무래도 경기를 타는 기업이다 보니, 들쑥날쑥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PI 필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금흐름도 좋아지리라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PI첨단소재의 예상 주가를 보겠습니다.

< 출처 : 네이버 금융 >

우선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앞으로를 좋게 보고 목표가를 5만원 중반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가 산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예상 EPS X 예상 PER]로 계산했습니다.

예상 PER는 과거 17년, 18년 PI 필름 시장의 평균 PER인 28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 출처 : 네이버 금융 >

현재 PI첨단소재의 주가는 4만원 초중반입니다.

과거 호황기에 58,000원 선까지 갔었습니다.

과거 스마트폰이 이끌었던 호황기와 다르게 앞으로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다양한 IT기기나 EV(전기자동차), 우주 산업 등에서 수요가 폭발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상승여력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분석을 원하시는 기업이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