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3 [주요 경제 지표] FRED를 통한 주요 경제 지표 확인 및 비교 이번 글에서는 FRED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CPI를 예시로 진행해보겠습니다. 1. FRED 기본 활용 구글에 FRED(federal reverse economic data) 검색하시면 맨 윗 상단에 사이트가 있습니다. 미연준 경제 데이터를 모아 놓은 사이트로 활용도가 아주 높습니다. 들어가서 CPI라 검색하면 매우 다양한 관련 DATA가 뜨는데 그중 가장 상단에 있는 CPI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All Items in U.S. City Average 먼저 그래프 사이사이 보면 회색 음영 처리가 된 부분이 있는데 여기는 경기침체 기간을 나타냅니다. 아주 과거의 경기침체부터 2000년 닷컴 버블,년 .. 2022. 5. 21. [주요 경제 지표] 주식시장을 요동치게 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매달 CPI 발표될 때마다 주식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밤잠을 설치고 계신데 CPI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사람들이 관심을 쏟고 있을까요? 1. CPI 란? 왜 중요한가? CPI란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를 말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의 입장에서 상품 및 제화,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값을 나타냅니다. 즉 CPI가 높다는 건 인플레이션이 심하다는 말과 같습니다. 현재 코로나로 인한 물량 공급의 차질과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및 곡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매우 상승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CPI를 주목하고 있고 CPI가 미연준의 금리 결정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아.. 2022. 5. 14. 연말마다 찾아오는 배당주의 시간 - 배당에 대해 알아보자!! 한 해의 끝이 다가오면 주식시장에서 관심이 높아지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배당’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연말 배당을 실시하기 때문에 배당락 전에 미리미리 배당주를 사 수익을 얻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중간 배당이나 분기 배당도 실시하는 곳도 많습니다. 오늘은 배당에 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배당이란? 배당이란 기업에서 주주들에게 보유하고 있는 지분만큼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주는 주주환원정책 중 하나입니다. 기업들은 주주의 투자금을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상을 하는 것입니다. 물론, 기업의 의무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기업이 배당을 주지는 않습니다. 배당에 관한 것은 매번 이사회를 통해 결정됩니다. 예시로 삼성전자의 배당결정 공시를 보겠습니다. 위와 .. 2021. 10. 14. 세계적 펀드매니저 '피터린치' -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리뷰 - (2) # 아마추어 투자자가 유리하다 투자의 세계는 전문투자자라고 유리한 것도 아니고 아마추어 투자자라고 불리한 것도 아닙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투자의 대가 또는 전문가들이 매수한 종목을 따라 매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피터린치는 전문가들이 매수한 종목을 무시해야 된다며 3가지 이유를 말합니다. 그가 틀렸을지도 모른다.(전문가들도 수도 없이 틀린다) 그의 선택이 옳았을지언정, 언제 매도할지 모른다. 투자자 주의에 전문가들보다 더 좋은 정보 원천이 널려있다. 관심있게 주변을 돌아보면 탁월한 종목을 월스트리트보다 빠르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쉽사리 10루타 종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놀라운 10루타 종목들 10루타란 10배의 수익을 걷어 올린 종목을 말합니다. 규모가 작은 포트폴리오일.. 2021. 8. 22. 세계적 펀드매니저 '피터린치' -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리뷰 - (1) 피터린치는 뛰어난 투자자 중 한 명으로 뽑히는 인물입니다. 역사상 최고의 펀드매니저 중 한명으로 1977년부터 1990년까지 13년간 마젤란펀드를 운용하면서 연평균 29.2%의 수익률을 냈습니다. 연평균 29.2%면 약 28배에 달하는 엄청난 수치입니다. 더군다나 펀드는 고객의 돈으로 운용되기에 자신이 정말 원하는 대로 할 수 없어 더욱 대단하다 느껴집니다. 그래서 피터린치가 쓴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은 주식 입문 책 및 주식에 대한 마인드셋을 위한 책으로 많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책을 읽고 책의 핵심 내용과 제 생각들을 정리하며 공유해보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작성합니다. # 프롤로그 주식시장에는 영원한 강세장 또는 약세상이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항상 인내심을 보여야 합니다. 하지만.. 2021. 8. 21. 특별사면[자유의 몸]과 가석방[반쪽짜리 자유의 몸]이 공통점 및 차이점 최근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의 가석방이 결정되었습니다. 이전부터 특별사면과 가석방 사이에 공방이 오고 갔는데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먼저, 특별사면이란 특정 범죄인에 대하여 형의 집행을 면제하거나 유죄 선고의 효력을 상실시키는 조치입니다. 즉, 유죄였던 사람이 무죄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가석방은 수감자를 형기 만료 전에 일정 조건하에 감옥에서 석방시키는 조치로 특별사면과 다르게 수감자의 유죄 선고는 유효합니다. # 공통점 우선 특별사면과 가석방의 공통점은 두 경우 모두 감옥에서 나와 자유의 몸이 된다는 점입니다. 가석방의 경우, 특별사면과 다르게 활동 영역이나 행위 등이 제한되긴 하지만 일상생활을 하는 데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두 조치의 최종 결정권자가 다르다는 .. 2021. 8. 12. 기업의 Valuation을 구할 수 있는 COE(Cost Of Equity)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ROE와 함께 비교해보면 좋은 COE(Cost Of Equit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ROE와 COE를 통해 Fair PBR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COE란? COE는 Cost Of Equity의 약자로 자본조달비용을 뜻합니다. 자기 자본 대비 이익률을 뜻하는 ROE와 비슷하면서 상반되는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업의 자본은 투자자들에 의해 모아집니다. 그리고 그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익률이 COE입니다. 결국, 기업은 ROE가 COE보다 높아야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나눠주고도 돈이 남게 되며, ROE가 COE보다 낮으면 좋지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COE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COE = Rf + ERP(Equity Risk Premiums) RF는 무위험 수익률로 보.. 2021. 8. 11. 금융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 순이자마진(NIM), 예대마진은 물러가라!! 오늘은 은행이나 금융권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순이자마진(NIM) 이란? 순이자마진(NIM)은 Net Interest Margin의 약어로 은행이나 금융권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대출이자에서 예금이자를 뺀 예대마진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예대마진은 외화자금 및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을 포함하지 않아 은행의 실질적인 수익성을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한 것이 순이자마진(NIM)입니다. 대신, 유가증권의 평가이익이나 매매이익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평가이익 : 유가증권의 매수금액과 평가시기의 시세 차이를 뜻 함. 예를 들어, 내가 5,000원에 산 주식이 현재 10,000원.. 2021. 7. 27. 이전 1 2 3 4 5 6 7 8 ···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