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 전 6월 6일 현충일날 동네에서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는 모습을 많이들 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태극기는 이렇게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에 달곤 하는데, 많은 분들이 태극기의 생김새나 중앙의 빨간색과 파란색의 위치를 헷갈려하십니다.오늘은 간단하게 태극기의 의미, 게양하는 날, 쉽게 외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태극기 의미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국기로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문양과 각 모서리에 건곤감리 4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흰색 바탕 – 밝음과 순수,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 태극문양 –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 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
- 막대기 3개 - 건 – 하늘
- 막대기 6개 - 곤 – 땅
- 막대기 5개 - 감 – 물
- 막대기 4개 - 이 – 불
2) 태극기 다는 날
태극기는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에 답니다. 물론, 매일 다셔도 상관없습니다.
- 3월 1일(3.1절)
- 6월 6일(현충일)
- 7월 17일(제헌절)
- 8월 15일(광복절)
- 10월 1일(국군의 날)
- 10월 3일(개천절)
- 10월 9일(한글날)
3) 태극기 세상 제일 쉽게 외우는 방법
태극기 쉽게 외우는 법은 생각보다 매우 쉽습니다.
1) 먼저 아래와 같이 3,4,5,6을 씁니다. 각 숫자는 건곤감리의 막대기 숫자를 의미합니다.
2) 그 다음은 숫자 순서대로 곡선을 그려줍니다. 이 곡선은 태극무늬의 곡선과 동일합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매번 위로 볼록한 쪽이 왼쪽인이 오른쪽인지 헷갈려하셨을 겁니다.
3) 마지막으로 위쪽은 태양(빨강), 아래쪽은 바다(파랑)로 마무리하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건곤감리를 외우는 법은 아래와 같이 연두색 곡선인 3,6,5,4로 외우시면 됩니다.
따라서 그리시면 아마 바로 머리에 남으실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4. 잡다 지식 > 1.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무엇인지 알아 보고 배심원 신청까지 해보자(1) (0) | 2022.07.12 |
---|---|
백미 대신 현미를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22.06.20 |
특별사면[자유의 몸]과 가석방[반쪽짜리 자유의 몸]이 공통점 및 차이점 (0) | 2021.08.12 |
블루링크 이용자!! 현대해상에서 마일리지 특약 환급 빠르게 받는 방법!!! (1) | 2021.06.25 |
여름철 꼭 퇴치해야 할 해충 - 바퀴벌레(종류, 주요 서식지, 퇴치법 등) (0) | 2021.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