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5. 주식글29

Risk on과 Risk off란 무엇인가? RORO Index를 이용해 버블을 확인하자!!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뉴스나 인터넷에서 Risk on과 Risk off라는 용어를 많이 접해보셨을 겁니다. Risk on과 Risk off는 투자 시, 위험자산에 투자하여 고수익을 얻을지 안전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받을지에 대한 개념입니다. 그리고 이 두 개념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 RORO Index이며 저희는 RORO Index를 통해 현재 시장이 어느 정도 버블인지 알고 투자를 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 Risk on 말 그대로 위험을 킨다 = 즉, 위험을 감수한다는 뜻입니다. Risk on은 자금을 주식, 원자재, 고금리 통화 등 리스크가 큰 위험자산에 운용하는 것을 합니다. 즉, 하이 리스크, 하리 리턴인 샘이죠, 시장에 낙관론이 강세를 보이며 경기에 대한 긍정.. 2021. 5. 18.
MSCI 지수 편입 종목 확인 방법 및 지수별 그래프 비교 방법 해당 게시물에서는 MSCI 지수 편입 종목 확인 방법과 지수별 그래프 비교 방법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https://www.msci.com/our-solutions/indexes ◀ MSCI 공식 홈페이지 INDEX 메뉴 Index Solutions MSCI indexes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monitoring of portfolios in a cohesive and complete manner, avoiding benchmark misfit. At the core is our Modern Index Strategy, which provides consistent treatment across all markets. We also license our indexe.. 2021. 5. 16.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MSCI 지수는 무엇일까? 편입 종목 확인 방법까지 알아보자!! TV나 인터넷에서 특정 주식이 MSCI 지수에 편입된다는 소식을 많이 접해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MSCI 지수에 편입되는 종목에는 호재로 작용하여 주가가 오르며 많은 관심을 받습니다. 도대체 MSCI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관심과 주가를 받을까요? 오늘은 MSCI 주가지수가 무엇인지부터 MSCI 지수 편입시기 및 편입 종목 확인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MSCI 지수란? 2. MSCI 지수 편입은 호재인가? 3. MSCI 지수 구성 4. MSCI 편입 시기 5. MSCI 편입 종목 확인 방법 1. MSCI 지수란? MSCI란 Morgan Stanly Capital International의 약어로 세계적 투자회사인 모건스탠리의 자회사입니다. 그리고 이 회사에서 전세계를 기준으로 발표하는 주가지수가 MS.. 2021. 5. 16.
정유업계 시황을 알 수 있는 정제마진은 무엇일까? 코로나로 인해 유가가 엄청 폭락했고 이제는 전기차의 시대가 올 것이라며 기존 주된 에너지원이 였던 석유산업에 대한 전망이 부정적으로 변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유가가 코로나 이전까지 상승했고 경기가 살아남에 따라 정유업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유업계가 살아나고 있다는 지표로 항상 주목받는 것이 정제마진입니다. * 정제마진이란? 정제마진(Refinery Margins)은 원유와 원유로 만들어지는 제품 간의 가격 차이를 뜻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개념인 원재료와 제품 사이에 마진이랑 같은 이치입니다. 대한민국 정유사들은 원유를 해외에서 전량 수입합니다. 그리고 수입한 원유를 증류탑을 통해 휘발유나 경유, LPG, 납사 등으로 분류를 하고 판매를 합니다. 이 때 만들어진 제품과 원유.. 2021. 5. 9.
기업의 규모를 줄이는 방법 - 유상감자와 무상감자, 호재인가 악재인가? 기업의 규모를 줄이는 방법으로 흔히 쓰이는 방법이 감자입니다. 감자는 말 그대로 자본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증자의 반대개념이죠반대 개념이죠? 기업이 규모를 줄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보통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대주주의 경영권 강화 등의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오늘은 감자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감자란? 감자(減資)를 한자풀이 하면 덜 감과 재물 자가 합쳐진 말로 자본을 덜어낸다는 뜻입니다. 보통 주식회사들이 주식 수를 줄여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자는 유상감자와 무상감자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제부터 유상감자와 무상감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유상감자란? 유상감자는 기업에서 감자를 할 때 줄어든 자본금만큼 각 주주들의 지분에 따라 자본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이때 기업의 .. 2021. 5. 9.
주식 상폐까지 갈 수 있는 자본잠식과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만약 기업의 적자가 누적되어 자본금(=초기 투자금) 보다 많다면 이 기업은 어떻게 될까요? 이럴 경우 이 기업은 부실기업으로 찍힘과 동시에 자본잠식에 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자본잠식에 빠지게 되면 주식 시장에서 상폐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자본잠식이 얼마나 위험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본잠식이란? 쉽게 단어 뜻만 생각하면 돈이 무언가에 잡아 먹혀 들어가는 느낌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적자가 심해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어 자본이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기업의 자산은 크게 자본과 부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자본은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죠. 자산 = 자본 + 부채 자본 = 자본금 + 이익잉여금 자본잠식률.. 2021. 5. 7.
주주환원정책인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대해 알아보자!! 기업은 주주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즉, 주가를 올리기 위해) 자사주 매입, 소각 또는 배당 확대 등의 행동을 합니다. 이러한 행동을 주주환원정책이라고 합니다. 보통 주주환원정책은 주주들에게 호재로 작용하여 주가 상승에 큰 도움이 되곤 합니다. 오늘은 주주환원정책 중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자사주란? 자사주란 자기주식의 줄임말로 기업의 총 발행 주식 중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수를 말합니다. 즉, 우리가 어떤 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그 기업도 그 기업의 주식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사주는 보통주와 다르게 의결권이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자사주 보유가 늘면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통주식의 수가 줄어듭니다. * 유통 주식 수 = 총 발행 주식 .. 2021. 5. 5.
21년 5월 3일(월) 공매도 부분 재개!!! 공매도란 무엇이며 달라진 점은? 21년 5월 3일(월)부터 약 1년 2개월간 중지됐던 공매도 거래가 부분적으로 재개된다고 합니다. 작년 3월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면서 공매도 거래를 정지시켰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백신 보급과 경기 회복의 기미가 보이자 공매도 거래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공매도 거래는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많은 분들이 반발을 하고 계십니다. 오늘은 공매도가 무엇이며, 장점과 단점, 이전과 달라진 공매도 거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매도란? 공매도(空賣渡)란 말 그대로 空(빌 공)과 賣渡(매도)의 합성어로 현재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매도한다는 뜻입니다. 보통 주식시장에서 앞으로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누군가에게 빌려서 미리 매도하고 일정기간 내에 매수하여 .. 2021.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