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주식글

금융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 순이자마진(NIM), 예대마진은 물러가라!!

by 요우요우맨맨 2021. 7. 27.
반응형

순이자마진-섬네일
순이자마진(NIM)

오늘은 은행이나 금융권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순이자마진(NIM) 이란?

순이자마진(NIM)Net Interest Margin의 약어로 은행이나 금융권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대출이자에서 예금이자를 뺀 예대마진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예대마진은 외화자금 및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을 포함하지 않아 은행의 실질적인 수익성을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한 것이 순이자마진(NIM)입니다. 대신, 유가증권의 평가이익이나 매매이익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평가이익 : 유가증권의 매수금액과 평가시기의 시세 차이를 뜻 함. 예를 들어, 내가 5,000원에 산 주식이 현재 10,000원이면 평가이익은 5,000원, 하지만 아직 팔지 않았기에 매매이익은 0원
  • 매매이익 : 매매를 통해 얻은 이익. 위 예시에서 주식을 팔 경우, 평가이익은 0원, 매매이익은 5,000원 발생

, 순이자마진은 은행이 얼마나 자산을 잘 굴리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며 타 은행사와 수익성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순이자마진 계산은 아래 식을 통해 합니다.

  • 순이자마진 = (이자수익자산 운용수익 – 이자비용부채 조달비용) / 이자수익자산의 평잔

용어가 조금 어려우나, 우리가 직접 계산할 일은 없으니 느낌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쉽게, 자산을 통해 얻은 수익에서 그 자산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뺀 금액을 해당 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은행도 기본적으로 고객들의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자산이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연 2 % 이자로 1,000만 원 예금을 넣고 은행은 그 1,000만 원으로 5%의 수익을 냈습니다. 그럼 순이자마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순이자마진 = ( 50만 원만원 - 20만 원만원 ) / 1,000만 원만원 = 0.03

위 예시는 약 3%의 순이자마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아주 매우 간단한 가정이기에 느낌만 이해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최근, 국내 대형 은행이나 금융주들의 순이자마진은 약 1.3~1.6% 사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융기업-순이자마진-비교
금융기업-순이자마진(NIM)-비교

NIM이 매번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 비슷해 보일 수도 있지만, 은행권의 경우 운용자산이 조 단위다 보니 매우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10조만 해도 5bp(0.05%) 차이면 5억이니 절대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를 보면 금융기업들의 순이자마진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금융기업-순이자마진-개선-뉴스
금융기업-순이자마진(NIM)-개선

그래서 요즘 금융주들이 배당성향을 높이거나 처음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하는 등의 주주친화적 기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금융주들의 수익성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