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풍력 등 많은 신재생에너지가 있지만 전기차와 항상 비교되는 수소차. 수소차의 핵심인 수소가 있습니다. 2050년에 글로벌 수소 시장의 규모는 약 2,500조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수소의 장점은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입니다. 물론 현재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열심히 세계 각국에서 기술개발 중입니다. 수소는 생산방식에 따라 크게 그린 수소,그레이 수소, 블루 수소로 나뉘는데 오늘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린수소 ( Green Hydrogen )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통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산한 수소를 말합니다. 또는 수전해 수소라고도 말하며 수소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이 없기 때문에 가장 친환경적이며 많은 기업들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수소 생산 방식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레이 수소나 블루 수소에 비해 생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린수소의 생산단가는 1kg당 평균 10,000원의 비용이 든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 그레이수소(=부생수소)는 약 2,000원 미만이라고 합니다.
세계 많은 기업들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해 막대한 투자 및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올해 초 진행한 1조 3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약 2천 원 정도를 그린 수소 생산에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순위도 1순위로 매우 높습니다. 확실히 한화솔루션은 태양광과 수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이 외에도 국내 중부발전과 같은 발전사들도 그린 수소 생산 의지를 밝혔습니다.
2. 그레이 수소 ( Grey Hydrogen )
그레이 수소는 이름만으로 뭔가 탁하고 가장 덜 친환경적인 느낌이 듭니다. 그레이 수소는 석탄이나 천연가스 개질을 통해 얻는 ‘개질 수소’나 정유나 화학 공장에서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부생수소’가 있습니다.
개질이란 열이나 촉매를 통해 성질이나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개질수소는 석탄이나 천연가스와 같이 수소 원소가 있는 연료에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분사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부생수소는 말 그대로 부가적으로 생산되는 수소입니다. 기본적으로 정유공장에서 석유를 정제하여 나프타(납사)를 분류하고 이 나프타(납사)를 다시 분류할 때 수소가 발생합니다. 이 수소를 부생수소라고 합니다.
하지만 개질 수소나 부생수소와 같은 그레이 수소는 생산되는 수소보다 발생하는 탄소가 더 많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방식입니다. 약 수소 1kg당 10kg 정도의 탄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대량생산에 용이하여 현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소 생산 방식입니다.
3. 블루 수소 ( Blue Hydrogen )
블루 수소는 그레이 수소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CSS 통해 탄소배출을 줄인 수소를 뜻합니다. 블루 수소는 그레이 수소와 같이 석탄이나 천연가스에서 생산된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이때 발생한 탄소를 CCS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하지 않습니다. 요즘 많은 기업들이 탄소 중립을 외치며 공장 내에 탄소 포집기를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
- CSS : Carbon Capture and Storage, 탄소 포집 및 저장하는 방법
SK 지주사는 SK E&S를 중심으로 2025년부터 25만 ton 규모의 블루 수소 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포스코도 2030년까지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블루 수소를 50만 ton까지 생산하겠다고 합니다.
그린 수소 기술이 발달하여 생산단가가 맞춰지지 않을 때까지는 블루 수소가 그 자리를 차지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인적분할 및 액면분할 공시!! -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자!! (0) | 2021.06.12 |
---|---|
만도 물적분할을 통한 신설법인 MMS 설립 공시 - 미래를 위한 사업개편안!! (0) | 2021.06.10 |
디지털 치과 의료 기업 레이 - 6월 3일 무상증자 권리락!!! (1) | 2021.06.03 |
코로나 장기화로 21년 1분기 LLC 저가항공사 자본잠식에 빠지다.. (0) | 2021.05.19 |
대한항공의 알짜사업부 항공기 MRO 사업,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3,200억 계약 수주 (0) | 2021.05.15 |
댓글